맨위로가기

토마소 알비노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소 알비노니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활동한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와 기악곡을 작곡했다. 그는 부유한 종이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바이올린과 성악을 공부했으며, 오페라 작곡가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오늘날에는 기악 음악, 특히 오보에 협주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알비노니는 생전에 50편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나 대부분 유실되었고, 9개의 기악 작품집을 출판하여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기악 음악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관심을 끌었으며, 바흐는 알비노니의 주제를 바탕으로 푸가를 작곡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1년 사망 - 프레드리크 1세
    프레드리크 1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고 울리카 엘레오노라 여왕의 퇴위로 스웨덴 국왕이 되었으며, 대북방 전쟁 패배를 겪고 스웨덴 자유 시대를 열었으나 실제 통치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 1751년 사망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 1671년 출생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 1671년 출생 -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의 차남으로, 1723년 제7대 토스카나 대공이 되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무관심한 태도로 백성의 지지를 잃고 1737년 사망하면서 메디치 가문의 직계를 단절시켰다.
  • 17세기 클래식 작곡가 -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는 17세기 초 건반 악기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토카타, 칸초나, 리체르카레, 변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17세기 클래식 작곡가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후기와 바로크 초기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페라의 선구자로, 만토바 궁정 활동과 오페라 《오르페오》 초연을 통해 극적인 음악극 장르를 개척하고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교회 음악을 개혁하며 오페라 발전에 기여, 모노디 양식 발전과 불협화음 활용, 악기 편성 혁신 등으로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마소 알비노니
기본 정보
토마소 알비노니
본명(토마소 조반니 알비노니)
출생1671년 6월 8일, 베네치아
사망1751년 1월 17일, 베네치아
국적이탈리아
활동 시기1694년 - 1741년
장르바로크 음악
직업작곡가
작품 목록

2. 생애

토마소 알비노니는 베네치아의 부유한 상인이자 귀족 가문 출신으로, 음악가로서 생전에 상당한 명성을 누렸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그는 조반니 레그렌치에게 음악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비노니는 1694년 작품 1번을 피에트로 오토보니 추기경에게 헌정했고, 1700년에는 만토바 공작의 궁정 바이올리니스트로 고용되었다. 1701년에는 토스카나 대공에게 헌정한 작품 3번을 작곡했다.

1705년 마르게리타 리몬디와 결혼했으며, 산 마르코 대성당의 악장 안토니노 비피가 증인을 섰다. 그는 베네치아를 비롯한 이탈리아 여러 도시에서 오페라 작곡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1719년까지는 주로 소나타와 오보에 협주곡을 작곡했다. 그는 독립적인 재산을 바탕으로 교회나 귀족 궁정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작곡 활동을 했다.

1722년,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의 초청으로 뮌헨에서 자신의 오페라를 지휘했다. 1740년경 그의 바이올린 소나타 모음집이 프랑스에서 유작으로 출판되어 한동안 그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실제로는 1751년 당뇨병으로 베네치아에서 사망했다.[4]

알비노니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작품명작곡 연도비고
작품 112개의 트리오 소나타1694년
작품 26개의 신포니아와 6개의 5성부 협주곡1700년연주 예시
작품 312개의 3성부 실내 무곡1701년
작품 4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6개의 교회 소나타1704년 (1708년 출판)연주 예시
작품 5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12개의 협주곡1707년연주 예시
작품 612개의 바이올린 소나타1711년
작품 712개의 협주곡집(오보에, 2 오보에, 현악 합주)1716년
작품 86개의 소나타와 6개의 3성부 무곡1721년
작품 912개의 협주곡집 (오보에, 2 오보에, 바이올린)1722년
작품 1012개의 협주곡집1735년-1736년?연주 예시


2. 1. 초기 생애와 경력

베네치아의 부유한 종이 상인이었던 안토니오 알비노니(Antonio Albinoni)에게서 태어난 그는 바이올린과 성악을 공부했다.[2] 동시대 작곡가로서 그의 위상과 그가 살았던 비교적 잘 기록된 시기를 고려하면, 그의 삶에 대해 알려진 바가 비교적 적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1694년, 그는 작품 1번을 동향인 피에트로 오토보니 추기경(교황 알렉산데르 8세)의 조카손자에게 헌정했다. 그의 첫 오페라, ''제노비아, 팔미렌의 여왕''은 1694년 베네치아에서 제작되었다. 1700년 만토바 공작 샤를 4세에게 바이올린 연주자로 고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악기 작품 모음집인 작품 2번을 그에게 헌정했다. 1701년, 그는 매우 인기 있는 모음곡인 작품 3번을 작곡했고, 이 작품집을 토스카나의 대공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에게 헌정했다.[2]

1705년, 그는 마르게리타 리몬디와 결혼했다. 산 마르코 대성당의 ''악장''인 안토니노 비피가 증인이었으며, 알비노니의 친구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알비노니는 베네치아의 주요 음악 기관과는 다른 연관성을 가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베네치아, 제노바, 볼로냐, 만토바, 우디네, 피아첸차, 나폴리를 포함한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에서 오페라 작곡가로서 초기에 명성을 얻었다. 이 시기에 그는 또한 기악곡을 풍부하게 작곡했다. 1705년 이전에는 주로 트리오 소나타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지만, 그 이후 1719년 사이에는 솔로 소나타와 오보에 협주곡을 작곡했다.[2]

대부분의 동시대 작곡가와는 달리, 그는 교회나 귀족 궁정에서 직책을 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는 독립적인 재산을 가지고 있었고, 음악을 독립적으로 작곡할 여유가 있었다.

2. 2. 결혼과 음악 활동

1705년, 알비노니는 마르게리타 리몬디와 결혼했다. 산 마르코 대성당의 ''악장''인 안토니노 비피가 결혼식 증인이었으며, 알비노니의 친구였던 것으로 보인다.[2] 마르게리타는 알비노니와 6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1720년까지 가수로 활동하다가 1721년에 사망했다. 알비노니는 베네치아의 주요 음악 기관과는 다른 연관성을 가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베네치아, 제노바, 볼로냐, 만토바, 우디네, 피아첸차, 나폴리 등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에서 오페라 작곡가로 초기 명성을 얻었다. 이 시기에 그는 기악곡 또한 풍부하게 작곡했는데, 1705년 이전에는 주로 트리오 소나타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지만, 1719년 사이에는 솔로 소나타와 오보에 협주곡을 작곡했다.[2] 1715년에는 암스테르담의 에티엔 로제를 통해 최초의 오보에 협주곡을 포함한 '5성부 협주곡 작품 7'을 출판했으며, 1721년에는 '6개의 소나타와 6개의 3성부 무곡 작품 8'을 출판했다.

대부분의 동시대 작곡가와는 달리, 알비노니는 교회나 귀족 궁정에서 직책을 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독립적인 재산을 가지고 있었고, 음악을 독립적으로 작곡할 여유가 있었다. 1721년에 가업이 기울어진 후, 성악 학교를 개설하여 많은 학생들을 지도했다는 19세기 역사가의 기록이 있지만, 학교 개설 시기나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불분명하다. 1722년, 알비노니가 12개의 협주곡 세트를 헌정한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은 그를 뮌헨으로 초청하여 그의 오페라 두 편을 지휘하도록 했다.

2. 3. 후기 생애

1722년, 알비노니가 12개의 협주곡 세트를 헌정한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은 그를 뮌헨으로 초청하여 그의 오페라 두 편을 지휘하도록 했다.[2] 알비노니의 가장 유명한 곡집 '5성부 협주곡집 작품 9'는 같은 해 암스테르담의 미셸-샤를 르 센느에서 출판되어 선제후에게 헌정되었다.

1740년경, 알비노니의 바이올린 소나타 모음집이 프랑스에서 유작으로 출판되었고, 학자들은 오랫동안 알비노니가 그 무렵 사망했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그는 베네치아에서 잊혀진 채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1742년 프랑스에서 알비노니의 바이올린 소나타집이 "유작"으로 출판된 것을 근거로, 연구자들은 알비노니가 그 무렵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해 왔다. 그러나 알비노니는 베네치아에서 조용히 생존해 있었다. 산 바르나바 교구의 기록에 따르면 토마소 알비노니는 1751년 베네치아에서 당뇨병으로 사망했다.[4] 그는 79세였다. 출생지인 산타 바르바라 소교구의 기록에 따르면, 알비노니는 1751년에 감기당뇨병으로, "79세"에 (아마도 오기) 사망했다고 한다.

3. 작품



알비노니는 오페라와 기악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의 기악 음악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바흐는 알비노니의 주제를 바탕으로 푸가를 작곡하기도 하고, 그의 베이스를 화성 연습에 사용하기도 했다.[8]

알비노니의 작품 중 일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드레스덴 주립 도서관이 파괴되면서 소실되었다.[8]

많은 현대 녹음의 주제가 된 ''아다지오 사단조''는 레모 자조토가 작곡한 음악적 사기극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알비노니의 원본 자료를 바탕으로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8]

알비노니의 주요 작품
작품 번호장르출판 연도비고
작품 112개의 트리오 소나타1694년
작품 26개의 신포니아와 6개의 5성부 협주곡1700년[https://www.youtube.com/watch?v=A-HUzWAbbFY 연주 예시]
작품 312개의 3성부 실내 무곡1701년
작품 4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6개의 교회 소나타1704년 (1708년 암스테르담 로제사 출판)[https://www.youtube.com/watch?v=CVfACHvY2ro 연주 예시]
작품 5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12개의 협주곡1707년[https://www.youtube.com/watch?v=dSNnkL3hs5k 연주 예시]
작품 612개의 바이올린 소나타1711년
작품 712개의 협주곡집(오보에, 2 오보에, 현악 합주)1716년
작품 86개의 소나타와 6개의 3성부 무곡1721년
작품 912개의 협주곡집 (오보에, 2 오보에, 바이올린)1722년
작품 1012개의 협주곡집1735년 - 1736년?[https://www.youtube.com/watch?v=2vWJ-BNpakw 연주 예시]


3. 1. 오페라

이탈리아 작곡가 토마소 알비노니, 도메니코 기치 (Egizio)와 주세페 콜라의 조각상, 피에트로 베텔리니 제작, 루이지 스코티 그림


알비노니의 오페라 작품 대부분은 출판되지 않았거나 파괴되어 소실되었다. 하지만 9개의 기악 작품집은 출판되어 상당한 성공을 거두고 재판되었다. 그는 오늘날 기악 음악(소나타 99곡, 협주곡 59곡, 신포니아 9곡) 작곡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생전에 그의 기악 작품들은 아르칸젤로 코렐리안토니오 비발디의 작품과 비교되어 칭찬을 받았다. 이탈리아, 암스테르담, 런던에서 출판된 그의 아홉 작품집은 남유럽 귀족들에게 헌정되거나 후원을 받았다.[5]

알비노니는 적어도 50편의 오페라를 썼으며, 그 중 28편이 1723년에서 1740년 사이에 베네치아에서 제작되었다. 알비노니 자신은 81편의 오페라를 썼다고 주장했다(자신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오페라 대본에서 80번째 작품이라고 언급).[6] 그는 엄청난 오페라 작품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그의 기악 음악, 특히 오보에 협주곡(12 Concerti a cinque op. 7과 가장 유명한 12 Concerti a cinque op. 9)으로 가장 유명하다. 그는 협주곡에서 오보에를 독주 악기로 사용하고 그러한 작품을 출판한 최초의 이탈리아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1715년경, op. 7).[7] 비록 오보에 독주가 포함된 이전 협주곡들은 텔레만이나 헨델과 같은 독일 작곡가들이 썼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6] 이탈리아에서는 알레산드로 마르첼로가 1717년에 그의 유명한 오보에 협주곡 라단조를 출판했다. 알비노니는 그의 실내악과 오페라에서도 오보에를 자주 사용했다.

알비노니는 약 52곡의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대부분 유실되었으며 1곡에서 5곡 정도의 아리아만 현존한다.

  • 그리젤다(''Griselda'', 1703년)
  • 가장 충실한 신하(''Il più fedel tra i vassalli'', 1705년)
  • 엔젤베르타(''Engelberta'', 1709년)
  • 관대한 경기(''Le gare generose'', 1712년)
  • 에우메네(''Eumene'', 1717년)
  • 라오디체(''Laodice'', 1724년)
  • 아르델린다(''Ardelinda'', 1732년)

3. 2. 기악곡

알비노니의 오페라 작품 대부분은 출판되지 않았거나 파괴되어 소실되었다. 하지만 9개의 기악 작품집이 출판되었는데, 이 작품들은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 재판되었다. 그래서 그는 오늘날 기악 음악(소나타 99곡, 협주곡 59곡, 신포니아 9곡) 작곡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생전에 이 작품들은 아르칸젤로 코렐리안토니오 비발디의 작품과 비교되어 칭찬을 받았다. 이탈리아, 암스테르담, 런던에서 출판된 그의 아홉 작품집은 남유럽 귀족들의 인상적인 명단에 헌정되거나 후원을 받았다.[5][6] 그는 협주곡에서 오보에를 독주 악기로 사용하고 그러한 작품을 출판한 최초의 이탈리아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1715년경, op. 7).[7] 비록 오보에 독주가 포함된 이전 협주곡들은 텔레만이나 헨델과 같은 독일 작곡가들이 썼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6] 이탈리아에서는 알레산드로 마르첼로가 1717년에 그의 유명한 오보에 협주곡 라단조를 약간 늦게 출판했다. 알비노니는 또한 그의 실내악과 오페라에서 이 악기를 자주 사용했다.

그의 기악 음악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큰 관심을 끌었다. 바흐는 알비노니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최소 두 개의 푸가(BWV 950, BWV 951)를 썼고, 그의 베이스를 그의 제자들을 위한 화성 연습에 자주 사용했다. 알비노니의 작품 일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드레스덴 주립 도서관의 파괴로 소실되었다.

많은 현대 녹음의 주제가 된 유명한 ''아다지오 사단조''는 레모 자조토가 작곡한 음악적 사기극이라고 일부에서는 생각한다. 하지만 음악학자 무스카 만가노가 사망 전 자조토의 마지막 조수였는데, 그녀의 발견으로 그러한 믿음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자조토의 논문에서 만가노는 통주 저음 부분의 현대적이지만 독립적인 필사본과 첫 번째 바이올린의 여섯 마디 단편을 발견했는데,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원본이 가져온 것임을 분명히 밝히는 드레스덴 출처의 스탬프가 찍혀 있다." 이것은 자조토가 자신의 작품을 이전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는 그의 설명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8]

알비노니는 50곡 정도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그 중 20곡이 1723년부터 1740년에 걸쳐 상연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기악곡, 특히 오보에 협주곡이 가장 유명하다.

'''주요 기악곡'''

  • 바이올린 소나타집 작품 6 (1711년경 출판)
  • 5성부 협주곡 작품 7 (1715년 출판, 오보에 협주곡집 외)
  • 3성부 발레와 소나타 작품 8 (1722년 출판)
  • 5성부 협주곡 작품 9 (1722년 출판)
  • 5성부 협주곡 작품 10 (1735년 - 1736년 출판)
  • (오르간과 현을 위한 아다지오 사단조는 레모 자조토의 위작)

3. 3. 종교 음악

3성 미사곡 (''Messa a tre voci'', 작곡 연대 미상) 외에도 48곡의 칸타타, 기악곡, 오라토리오 등이 있다.

4. 영향 및 유산

토마소 알비노니는 생전에 아르칸젤로 코렐리, 안토니오 비발디와 비견될 정도로 기악 음악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이탈리아, 암스테르담, 런던 등지에서 출판되어 남유럽 귀족들에게 헌정되기도 했다.[5][6] 특히 오보에 협주곡(12 Concerti a cinque op. 7과 12 Concerti a cinque op. 9)은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으며, 협주곡에서 오보에를 독주 악기로 사용하고 출판한 최초의 이탈리아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7]

그는 50편이 넘는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대부분 출판되지 않거나 소실되었다. 알비노니 자신은 81편의 오페라를 썼다고 주장했다.[5][6] 제2차 세계 대전 중 드레스덴 주립 도서관이 파괴되면서 그의 작품 일부가 소실되어, 1720년대 중반 이후 그의 삶과 음악에 대한 정보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의 기악 음악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관심을 끌었다. 바흐는 알비노니의 주제를 바탕으로 두 개의 푸가(BWV 950, BWV 951)를 작곡했으며, 그의 베이스를 학생들의 화성 연습에 자주 사용했다.

4. 1. 아다지오 사단조

레모 자조토가 작곡한 음악적 사기극으로 알려진 ''아다지오 사단조''는 많은 현대 녹음의 주제가 되었다. 하지만, 음악학자 무스카 만가노가 자조토의 사망 전 마지막 조수였는데, 그녀의 발견으로 이러한 믿음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만가노는 자조토의 논문에서 통주 저음 부분의 현대적이지만 독립적인 필사본과 첫 번째 바이올린의 여섯 마디 단편을 발견했다. 이 단편에는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원본 출처가 드레스덴임을 명확히 밝히는 스탬프가 찍혀 있었다." 이는 자조토가 자신의 작품을 이전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8]

참조

[1]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Ar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Britannica Tomaso Giovanni Albinoni
[3] 웹사이트 Tomaso Albinoni: Adagio in G minor http://www.classicfm[...]
[4] 서적 Tomaso Albinoni : musico di violino dilettante veneto : (1671–1750) : con il catalogo tematico delle musiche per strumenti, 197 esempi musicali e 14 tavole fuori testo F.lli Bocca
[5] 웹사이트 Tomaso Albinoni http://www.oxfordmus[...] 2011-12-30
[6] 웹사이트 Baroque Composers and Musicians: Tomaso Albinoni http://www.baroquemu[...]
[7] 서적 A history of baroque music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La tradizione delle opere di Tomaso Albinoni a Dresda
[9] 웹사이트 偽作?傑作!誰の策?~「アルビノーニのアダージョ」~ https://www.nhk.or.j[...] NHK 2016-10-01
[10] 웹사이트 トマゾ・アルビノーニ http://www.yamaha.co[...] ヤマハ株式会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